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
HOME ENGLISH
  • 비엔날레
  • 전시작품
  • 비엔날레

    비엔날레에 출품한 전시작품입니다.

    전시작품

    비엔날레에 출품한 전시작품입니다.

     

    [ 주제전 Main Exhibition ] 이윤숙 (한국) Lee Younsook (Korea)

    페이지 정보

    본문

    d367165ac8ac76cda28e410cb23caf89_1758095178_0119.JPG
     


    <존재의 회복을 위한 순환과 연결의 조형성 The Formative Nature of Circulation and Connection for the Restoration of Existence


    지난해 초겨울 자연재해(폭설)로 훼손된 작업실 주변의 소나무(묘목을 심어 20여년간 직접 키운)를 나는 정리하며 나무줄기와 가지, 옹이를 분류해 작품을 만들고 있다. 이번 작업에 사용되는 옹이는 나무가 성장하며 뻗어가는 여러 갈래의 가지들을 지탱해 주는 단단한 부위이다. 마치 바이러스 같은 옹이의 형태는 강하면서도 신비한 에너지를 느끼게 한다.

    각각의 옹이들은 다양한 사고와 무한한 능력을 지닌 사람들을 상징한다. 우리 사람들도 각자의 위치에서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서로 잡아주며 함께 살아갈 때 더 많은 행복바이러스를 뿜어낼 수 있을 것이다.

    작업 과정을 통해 옹이의 형태를 관찰하고 자연과 인간의 관계, 삶과 죽음의 경계, 존재의 상실과 회복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In early winter last year, following a natural disaster (heavy snowfall) that damaged the area around my studio, I began sorting the pine trees I had personally grown from seedlings for over 20 years, creating artworks from their trunks, branches, and knots. The knots used in this work are the solid parts that support the multiple branches as the tree grows. Their forms, reminiscent of viruses, convey a sense of strength and mysterious energy.

    Each knot symbolizes people with diverse thoughts and limitless potential. Just as we humans can generate more “happiness viruses” by supporting one another from our respective positions, the knots represent interconnectedness and mutual aid.

    Through the process of working with these knots, I observe their forms and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death, and the loss and restoration of existence.


    소나무(반송) 옹이 Pine (Bansong Pine) knot, 가변크기 Variable size, 20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